요즘 NFT 사업을 한다고만 하면 주식이든, 코인이든 그야말로 "떡상" 하는 모습을 많이 보여주었는데요, 심지어 일부 가수 (랩퍼) 들은 음원을 NFT 코인으로 투자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출원을 하기도 했습니다.
NFT 과연 무엇일까요?
그렇게 화제가 되고, 상용화가 될 가능성이 큰 코인이라면 꼭! 개념을 짚고 가야하겠지요?
NFT가 어떤 것인지 알아봅시다!
NFT 는 Non-Fungible Token 의 약자로 "대체 불가능한 토큰" 입니다.
블록체인 기술을 바탕으로 한 가상 자산인 부분에서는 "코인"하고 비슷합니다.
하지만 차별점이 있다면 현실세계의 화폐처럼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암호화폐와는 다르게 NFT는 디지털 자산이 고유한 인식값을 담고 있습니다.
NFT가 적용된 무언가에는 거래이력, 소유권 등의 권리들이 명시됩니다. 일종의 명품 정품인증서처럼, 디지털 정품인증서라고 할 수가 있죠.
그래서 최근 게임업체들 뿐 아니라, 서울옥션과 같은 미술품 경매 업체, 음원 등의 예술작품에 접목되는 현상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NFT화 된 음원을 만약 구매하게 된다면, 이 음원이 본인의 것이라는 것을 증명할 수 있는 거래이력/소유권 등이 있기 때문에 재판매 할 시 정품 여부를 증명할 수 있게 되는 겁니다.
한줄로 축약,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만든 가상자산인데, 디지털 자산에 소유주,정품여부를 증명하는 토큰
FT 와 NFT 의 차이점
FT 는 NFT 의 반대로 "대체 가능 토큰" 입니다. 현재 발행되어 있는 대체 가능 토큰은 BTC, ETH 등의 암호화폐와 같이 서로 교환하고 분할 할 수 있는 토큰입니다.
NFT는 FT와 다르게 식별가능한 고유한 ID를 부여받아, 희소성이 있습니다.
NFT 왜 화제일까요?
NFT 가 FT 와는 다르게 갖고 있는 가치가 무엇인가 고민해보면 그것은 "디지털 희소성" 일 것입니다.
비트코인은 한정되어 있는 암호화폐이긴 하나 다른것으로 교환할 수도 있고, 친구한테 보낼 수도, 받을 수도, 구매를 할 수도 있습니다.
그동안 디지털 파일은 쉽게 복제할 수 있고, 원본과 카피본을 구분 할 수 없다는 부분때문에 가치를 인정받는 부분에서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반면 NFT는 "소유권"이라는 개념이 더해졌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가 해결됨과 동시에 자산의 폭이 확대됨에 있어서 어마어마한 자본이 들어오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 이더리움 기반으로 저장되어 있는 픽셀화된 아바타 이미지인 "크립토펑크" 를 들어보셨을것 입니다. 처음에는 무료로 뿌렸던 크립토펑크 이미지는 "희귀템" 이라는 것에서 높은 가치가 매겨져, 현재는 100억원이 넘는 가격에 팔리고 있습니다. 아주 초창기의 NFT 사업이며 딱 1만개만 발행된 수집품이기 때문입니다.
최근에 랩퍼 저스디스 역시 NFT화 된 음원을 발매했습니다. 국내에 이런 사례가 처음은 아니지만, 관심이 있던 래퍼이기도 해서 한편으로는 반가우면서도 신기했습니다.
NFT 우려점
물론 많은 우려들도 존재합니다.
관심이 많아 지면서 신규 투자와 투기를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NFT 의 잠재 가능성에 대해 "기대감" 이 고조되어 시장 상황이 "버블"에 가깝다고 우려하는 것 입니다.
또한 NFT를 발행하고 유통하기 위하여 PoW(Proof-of-Work) 기반 블록체인 생산에 전력소비가 지나치다는 보도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는 환경적인 문제를 야기하고 있어 NFT 작품의 판매를 취소하거나 보류하는 아티스트들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전력 소비량이 낮은 PoS 방식으로 전환을 꾀하고 있는 이더리움 같은 코인도 있지만 아직은 많은 블록체인들은 PoW 방식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세번째는 지적재산권에 관련한 문제입니다. NFT와 지적재산과의 관계, 소유권의 영구성이나 원작의 저작권, 법적 실효성 등 아직은 무법에 가까운 상태입니다.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문제에 있어서 기준을 잡고, 규제도 정해야할 것 같습니다.
그 외 위조의 위험, 보안성, 영구성, 원본 손실 등 다양한 이슈가 발생할 수 있어 많은 우려점도 같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한동안은 NFT에 많은 자본이 밀려들어오고 있고, 앞으로도 그럴 것 같습니다. 전혀 새로운 시장이 생긴것이라 과열된 만큼 잘 상용화될 수 있도록 법적인 부분도 잘 보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노마드 라이프 > 주식 | 코인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주식 기사] 중국주식에 상당한 타격을 가져올 '디디추싱' 자진 상장폐지 (0) | 2021.11.27 |
---|---|
[코인] NFT 게임을 알아보자! (0) | 2021.11.26 |
[줍줍 리스트] 겨울 염화칼슘 관련주 태경비케이 (0) | 2021.11.25 |
메타버스의 부정적인 시선 (0) | 2021.11.22 |
메타버스란? 메타버스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1.11.21 |